최소 대립쌍의 정의와 생각해야 할 것들

최소 대립쌍에 대하여 

최소 대립쌍의 정의와 생각해야 할 것들 

최소 대립쌍의 정의와 유의해야 할 조건 

하나의 위치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하나의 동질적 음운 때문에 뜻이 구별되는 두 단어가 최소 대립쌍이다.
여기에서 유의해야 할 것은 '하나의 동질적 음운'이라는 것, 
‘같은 위치’라는 것
그리고 ‘음운 때문’이라는 것이다.
물론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로 정의된다. 
예컨대, '나라 - 나루'는 모음 'ㅏ'와 모음 'ㅜ' 때문에 뜻이 구별된다. 따라서 최소 대립쌍이다.
그러나 '하루 - 나라'는 'ㅎ'과 'ㄴ', 그리고 'ㅜ'와 ㅏ', 즉 두 개의 음운 때문이 뜻이 구별되므로 최소 대립쌍이 아니다.

생각해 봐야 할 문제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은 같은 자리라도, 
① 한 단어의 그 자리에 음운이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② 음운의 변동을 어떻게 생각해야 하느냐이다. 
그리고 비분절 음운을 어떻게 다룰 것이냐도 문제이다. 

초성의 'ㅇ'이 있는 단어 

①의 경우 
예를 들어 ‘금’과 ‘음’, ‘힘’과 ‘임’, ‘휴교’와 ‘유교’가 각각 최소 대립쌍인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일단 ‘음’에서 초성 ‘ㅇ’은 음운이 아니다. ‘임’이나 ‘유교’에서의 ‘ㅇ’도 같다.
결국 초성에서 ‘ㅇ’은 음운이 아니므로, 최고 대립쌍의 조건이 되지 아니한다. 
‘ㅇ’이 음운인 것은 종성, 즉 받침에서이다. 
예컨대, ‘앙’에서 초성의 ‘ㅇ’은 음운이 아니다. 받침의 ‘ㅇ’만이 음운이다. 
따라서 초성에 'ㅇ'있는 단어와 초성에 자음이 있는 단어는 최소 대립쌍이 될 수 없다.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경우

‘잎’과 ‘입’은 최소 대립쌍일까? ‘잎’의 ‘ㅍ’과 ‘입’의 ‘ㅂ’은 모두 [ㅂ]으로 실현된다. 
그렇다면 서로 구별되지 않으므로 서로 다른 음운이 아니다. 그러므로 ‘잎’과 ‘입’은 최소 대립쌍이 아니다.
그러나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이‘를 결합시키면 ’잎이‘는 [이피], ’입이‘는 [이비]로 발음되므로 서로 다른 음운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둘은 최소 대립쌍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학교 문법의 범위 

그런데 중요한 것은 학교 문법에서는 이렇게 논란이 되는 경우들은 다루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만 이렇게 서로 다른 입장이 있다는 것을 이해해 두는 일은 필요한 일이다.

비분절 음운의 경우 

한편 비분절 음운도 학교 문법에서는 음운으로 보고 있다.
​비분절 음운에 대한 이해를 위헤서 분절 음운과 비분절 음운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한다.

음운은 분절 음운과 비분절 음운으로 나눌 수 있다.
분절 음운은 자음과 모음처럼 다른 소리와 잘 나누어지는 음운이다. 자음, 모음, 반모음이다.
비분절 음운은 고저, 강약, 장단처럼 다른 소리와 잘 나누어지지 않는 음운이다. 
현대 국어의 표준어에서는 장단만 비분절 음운으로 인정한다. 

간혹 최소 대립쌍을 판단할 때에 비분절 음운을 생각하지 않는 입장들도 있다. 

역시 학교 문법에서의 관점

그러나 학교 문법에서는 비분절 음운도 인정하고 있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그렇다면 예컨대 '눈(眼)[눈]'과 '눈(雪)[눈:]'은 비분절 음운인 장단에 의해 두 단어의 의미가 구별되므로 최소 대립쌍이라고 할 수 있다. 


최소대립쌍


음운에서는 언제나 중요한 문제이다. 

어려운 개념은 아니지만, 조건을 잘 이해해 두어야 한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