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절의 유형과 표기 형태, 그리고 발음 상의 유형

 음절의 유형과 표기 형태 

음절의 유형과 표기 형태, 그리고 실제 발음했을 때의 유형

음절의 정의 

음절은 홀로 발음될 수 있는 최소 단위이다. 
물론 음절은 음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음절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모음 

모음은 그 자체로 하나의 음절을 이룬다.
다 알겠지만, '아'는 모음 하나로 이루어진 음절이다.

자음 + 모음

모음 + 자음

자음 + 모음 + 자음

물론 여기에서 끝소리의 자음은 두 개일 수도 있다. 이른바 '자음군'이다. 
예를 들어 '흙'이라고 한다면 받침의 자음은 두 개이다.
'밖'에서 받침을 이루고 있는 자음은 물론 한 개이다.

음절의 유형










표기 형태의 음절 유형과 실제 발음했을 때의 유형 

그러나 표기 형태의 음절 유형이 실제 발음을 했을 때의 유형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흙이'라고 해보자.
표기 형태로 보자면, [자음 + 모음 + 자음, 모음]의 유형이다.
그러나 발음상으로는 '흙이'는 [흘기]로 발음되므로 [자음 + 모음 + 자음, 자음 + 모음}이다.
실제 발음했을 때의 음절 유형이 표기 형태의 유형과는 다르다.

물론 음운 변동의 결과는 아니다. [흘기]로의 발음은 단순히 연음이다. 

'놓이다'는 어떨까.
표기 형태로 보자면 [자음 + 모음 + 자음, 모음, 자음 + 모음]이다.
그러나 발음상으로는 '놓이다'는 [노이다]로 발음되므로  [자음 + 모음, 모음, 자음 + 모음]이다.

이것은 음운 변동의 결과이다. 'ㅎ' 탈락이다. 

또 '끝을'이라고 해 보면 발음은 [끄틀]이므로
표기 형태의 유형은 [자음 + 모음 + 자음, 모음 + 자음]이지만
발음을 했을 경우에는 [자음 + 모음, 자음 + 모음 + 자음]이다.
즉, 그 유형이 다르다.

물론 이 경우도 연음이다. 

일치하는 경우는 이렇다.

'학교에'의 발음은 [학꾜에]이다. 
표기 형태의 유형은 [자음 + 모음 + 자음, 자음 + 모음, 모음]이다. 
실제 발음했을 때의 유형도 [자음 + 모음 + 자음, 자음 + 모음, 모음]이다.
음운 변동이 일어났다고 해서 음절의 유형이 반드시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음절의 유형, 음운 변동, 표기 형태의 변화


댓글

가장 많이 본 글